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 입

트럼프 한마디에 미국 증시 급락, 원인은?

 

주말 아침 일어나니 금요일간 미장이 급락했다. 

오랜만에 보는 (거대한) 파란기둥.. 안녕? ^__^

반갑지 않지만 어쩌겠나.. 이럴 때일수록 침착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시장의 반응을 체크한 뒤, 대응 전략을 세워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미국 증시 급락 원인
내가 일어나자 마자 본것.jpg

 

 

 


📌 사건 개요 요약

2025년 10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전략적으로 희토류(rare earth) 수출을 통제한 데 반발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추가로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도 높은 조치를 발표했다. 이 발표 직후 글로벌 증시는 급락했고, 미국 증시 역시 하락 압력을 크게 받았다. 중국은 이에 맞서 희토류 수출 규제를 더욱 강화하면서 양국 간 무역·기술 갈등이 한층 격화되는 국면으로 진입했다. 

트럼프의 관세 위협은 단발성 선언이 아니라, 기존 미국의 대중 무역·기술 제재와 연계된 강경 스탠스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다. 이로 인해 시장에서는 제2의 무역전쟁 재발 우려가 확산되었고,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

 

🧾 팩트 체크

이 사건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두 가지 핵심 쟁점을 체크해야 한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는 실제인지, 미국의 100% 관세 부과 선언은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1.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 중국은 2025년 4월부터 7가지 희토류 원소 및 자석 제품에 대해 수출 허가제 및 규제를 강화했다. 이는 반도체, 국방, 전기차, 모터 산업 등 전략 산업에서 사용되는 핵심 소재들이다. 
  • 중국 상무부는 이 조치를 국가 안보 및 기술 이전 통제의 관점에서 정당화하고 있으며, 민간·비군사용 품목은 일부 허가를 통해 수출할 여지를 남겨 두었다고 밝혔다.
  • 실제로 이 통제 발표 직후 자석 제품 수출이 감소했고, 글로벌 자동차·전자업체 일부는 공급 차질을 겪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 다만 6월 이후 미·중이 무역 협상에서 일부 트러스를 회복하면서 중국이 제한을 완화하겠다는 신호를 보인 적도 있다. 
  • 따라서 현재의 수출 통제는 완전 봉쇄가 아니라 허가제 중심의 규제 강화 쪽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2. 미국의 100% 관세 부과 선언

  • 트럼프는 중국의 수출 통제에 대응하여 기존 관세 위에 100% 관세를 추가 부과하겠다는 강수 카드를 내걸었다. 
  • 그러나 이 선언이 곧바로 법제화되는 것은 아니다. 관세는 의회 승인, 무역 법규, 세계무역기구(WTO) 규제, 중국과의 보복 위험 등 복합 조건을 거쳐야 한다.
  • 특히 WTO 규제에 저촉될 소지, 상호 보복 가능성,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이 시장 반응을 더욱 민감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 이미 미국 정부는 Section 232 조치 등을 통해 중요한 광물 및 원료에 대한 규제 접근을 강화한 상태이며, 일부 관세나 수출 통제 조치는 대통령 권한 아래에서 발동 가능한 상태다.
  • 따라서 100% 관세 선언은 전면 관세전쟁의 신호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 적용까지는 단계적이고 조건적일 가능성이 크다.

 

📉 미국 증시 상황 분석

이번 뉴스는 미국 증시 전반에 충격을 주었다. 나는 주요 뉴스가 나올 때마다 섹터별 시장 반응을 관찰해본다. 

미국 증시 급락 원인
251010. 사실상 방어한 섹터가 없으세요

 

핵심 시사점: 중국 희토류 카드는 첨단 기술 기업들의 아킬레스건을 정확히 겨냥했으며, 투자자들은 즉각 경기 방어주로 피신하는 전형적인 리스크 회피 행태를 보였다. 

 

 

📉 하락세가 강했던 섹터

 테크놀로지 : 피해 직격탄 

- 반도체(NVDA -4.89%, AVGO -5.91%)와 소프트웨어(MSFT -2.19%) 중심으로 큰 타격

- 소비자 전자제품도 동반 하락(AAPL -3.45%)

- 희토류는 첨단 반도체 제조의 핵심 원자재로, 공급망 불안이 직격탄

 

  소비재 & 커뮤니케이션 : 2차 피해

- 인터넷 리테일(AMZN -4.99%), 자동차(TSLA -5.06%) 급락

- 빅테크 커뮤니케이션 기업들도 부진(GOOG -1.95%, META -3.85%)

 

  금융 섹터 : 동반 하락

- 은행주 전반적 약세(JPM -1.52%, BRK-B -1.53%)

-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반영

 

 

📈 상승세 혹은 방어했던 섹터

  필수소비재(Consumer Defensive): 선방

- 할인점(WMT +0.07%), 가정용품(PG -0.59%) 등 경미한 하락에 그침

- 담배(PM +1.25%) 오히려 상승

- 생필품 중심 기업들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 수요 유지

  헬스케어: 방어, 안전자산 특성

- 제약사들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방어력 과시(LLY -2.56%, JNJ -0.19%)

- 경기 민감도가 낮은 필수 소비재 성격

 

  유틸리티: 역발상 상승

- 유일하게 녹색을 보인 섹터(SO +2.25%, D +1.23%)

- 불확실성 속 방어적 자산 선호 심리 반영

 

🔍 향후 전망

 

이제부터는 시장이 어디로 향할지, 어떤 변수들이 향방을 결정할지 전망해보자.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관세와 규제 사이의 긴장 국면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미국과 중국은 무역·기술 패권 경쟁국이며, 희토류는 전략 자원이다. 따라서 이번 갈등은 상대적으로 단기 이벤트가 아니며, 중·장기적으로 리스크 요인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조정 시기 가능성

기술주 중심의 급락이 있을 수 있다. 이미 밸류에이션이 높았던 기업들은 이번 악재를 계기로 가격 조정 폭이 클 수 있다.
다만 증권사 및 전략가들 중 일부는 중국이 협상에서 물러서거나 완화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6월 무역 협상 중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일부 풀겠다는 신호도 준 바 있다.
따라서 시장은 충격 이후 완화 기대와 조정 흐름을 번갈아 오갈 가능성이 크다.

 

 중장기 구조전환 촉진

이번 사태는 단기 충격뿐 아니라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 및 탈중국화(De-risking)를 가속할 계기가 될 것이다.
미국은 이미 Mountain Pass 광산 등 자국 내 희토류 개발을 강화하고 있으며, 유럽·호주·아프리카 등 대체 공급지 개발이 빠르게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희토류 관련 기업, 정밀 화학·자재 기업, 재활용·대체소재 기업 등이 부상할 여지가 있다.

 

 

🚀 투자 전략 아이디어

이런 흐름 속에서 취할 수 있는 투자 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략 핵심 및 방향성 구체 종목 및 아이디어
방어 중심 포지션 강화 기술주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크므로,
안정 자산 비중 확대
유틸리티, 헬스케어, 소비필수재 섹터 ETF / 고배당주
단기 트레이딩 기회 확보 조정 구간 진입 시 매수 기회 포착 기술주 내 우량 기업 / 반도체 관련 기업
희토류·전략소재 포지션 공급망 다변화 수혜주 중심 선별 희토류 채굴·재가공 업체 / 자원 재활용 업체
글로벌 분산 투자 미·중 리스크 분산 목적 미·일·유럽 기술주 + 신흥국 ETF 등 혼합
헤지 전략 병행 옵션, 풋, 금 보유 등 리스크 방어 S&P 500 풋 옵션, 금 ETF (GLD 등)

 

✔ 포인트 요약

  1. 기술주는 당분간 조정 리스크가 높으니 대응 전략을 세우자. 
  2. 방어주와 안전자산 중심 자산 배분으로 충격 완충 궤적을 갖자.
  3. 희토류 및 전략소재 관련 기업 발굴은 중장기 관점에서 유망하다.
  4. 시장의 완화 기대와 긴장 국면 변화를 감안해 유동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자.
  5. 손절 기준과 진입 타이밍을 명확히 설정해두면 급격한 흐름에 대응하기 좋다.

 


 

나의 기록 

- 아직 나의 포폴 내 기술주 비중이 크지 않아서 적극적으로 줍줍하고 싶다. 

- 신규 투자 자금과 보유 중인 코카콜라를 일부 매도하여 추가 매수 자금을 마련할 예정이다.

- SPY, QQQ, 엔비디아(NVIDIA), 애플(Apple) 중심으로 추가 매수 계획

- 금 가격은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금도 소폭 추가 매수할 예정이다.

 

*

 포스팅의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일  투자 권유나 매매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투자자 본인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합니다.